폐렴예방접종 나이는?
단순히 기침이 나고 폐쪽에 통증이 있다고 해서 무조건 폐렴이라고 생각할 수는 없습니다. 일정기간이상 아래와 같은 증상이 있다면 폐렴을 생각해볼 수 있는데요.

폐렴증상
폐렴에 걸리게 되면 초기에는 근육통, 기침, 구토, 가래, 오한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감기가증상이 비슷해 보통 감기약으로 치료하려는 경우가 많은데요.
위의 증상과 더불어 38도이상의 고열, 심한 기침, 노란가래등이 일주일이상 지속될 경우 폐렴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폐렴 전염
폐렴은 전염성이 있어 주변에 위의 증상이 보이는 사람이 있다면 각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타인으로부터 내 자신을 보호하는것도 중요하지만 나에게 이런 증상이 나타난다면 타인에게 전염시키지 않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폐렴 전염 경로
폐렴 전염은 폐렴에 걸린 사람이 입을 막지않고 재채기를 하거나 오염된 휴지나 손수건등을 아무렇게나 방치하거나 마스크 없이 대화를 하면서 퍼지게 되고 주로 사람들의 손을 통해 전염이 됩니다.
손에 묻은 폐렴원인균들이 입에 닿게 되고 구강을 통해 폐로 들어가 폐에 염증을 일으키게 됩니다.
폐렴 전염 예방법
폐렴은 신우심염등의 질병으로 인해 염증이 폐에 들어가서 폐렴을 발생시키기도 하지만 폐렴에 걸린 사람에게 전염이 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폐렴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증상이 있을 경우 마스크를 반드시 사용하고 재채기나 기침을 할때 타인과 대화를 할때 균이 다른이에게 옮기지않게 또는 옮지않게 신경써서 주의해야 합니다.


폐렴 원인이 되는 균들은 상당히 여러가지가 있지만 제일 흔한 원인균인 폐렴구균은 예방접종으로 예방을 할 수 있습니다. 폐렴이나 폐결핵등 질환이 있었던 분들은 반드시 폐렴예방접종을 하시는게 좋습니다. 아래 질환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폐렴예방접종 나이는 59개월이하 영유아 및 65세이상 노인이지만,, 수술한지 얼마되지 않아 면역력이 약한경우, 만성 심혈관 질환이 있는경우, 폐질환이 있는 경우는 반드시 접종을 하는것이 좋습니다.
2020년 기준으로 65세 되는 1955년생 이하는 보건소에서 폐렴구균 무료접종을 하실수 있습니다.
댓글